교회소식

<본 글은 고신 총회신학위원장의 요청으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가 작성하였습니다>

국가적 비상상황과 공예배에 대한 신학적⦁목회적 성찰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

1.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빠른 전파로 인해 한국 사회 전체가 큰 고통을 받고 있다.

특히 성도들 가운데 바이러스에 감염된 분들이 생겨나면서, 급기야 주일예배를 취소하고 온라인 예배 등과 같은 대체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16일 주일부터 일부 교회들이 이미 인터넷을 통한 예배를 시행하면서 한편으로 이 현상이 주일 성수와 공예배의 중요성을 약화시키게 된다는 우려도 생기고 있다.

 

2. 신앙생활에 있어서 공예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구체적인 한 장소에 모여서 유일하시고 참되신 삼위 하나님을 예배하는 공동체가 교회이다(신 4:10).

주의 이름으로 모인 곳(마 18:20), 즉 말씀이 선포되고 성례가 시행되는 곳에 교회가 있다.

따라서 성도는 모이기를 폐하지 않고 힘써 모여야 한다(히 10:25).

우리 신앙고백서도 신자는 어느 곳에서나 하나님을 예배해야 하고, 또 할 수 있지만, 공적 집회에서 더 엄숙하게 예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집회를 임의로 소홀히 하거나 저버리지 말아야 한다고 가르친다(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21:6).

성도는 질병 혹은 감염의 이유로 발생한 다양한 상황 속에서도 마음으로는 모여 예배하는 것을 더욱 사모해야 하며 혹여 예배에 참여하지 못하더라도 이를 안타깝게 생각해야 한다.

 

3. 공예배가 지극히 중요하지만 우리 신앙고백서가 가르치고 있듯이 공예배를 절대화시키는 위험에 빠져서도 안 된다.

무지와 미신에 빠져있었던 중세 시대의 신자들은 하나님께서 지켜 주실 것이라고 믿고 예배당으로 몰려들기도 하였지만,

그것이 오히려 전염병을 더욱 확산시켰던 역사적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종교개혁가들도 주일 성수에 대하여 매우 엄격한 입장을 취하였다.

하지만, 전염병이 돌았을 때,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라는 규범을 벗어나지 않는 한 피신을 가장 지혜로운 방법일 뿐만 아니라 하나님께서 허용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비록 칼빈이나 루터와 같은 위대한 목회자들은 죽음을 무릅쓰고 남아있는 환자들을 돌보기도 하였지만 성도들이 예배당을 떠나 피신하는 것까지 금하지는 않았다.
 

제목 날짜
고려신학대학원 구약학 교수 기 동 연(주일 예배에 관하여) 2020.03.01
<본 글은 고신 총회신학위원장의 요청으로 고려신학대학원 교수회가 작성하였습니다... 2020.03.01
3월 8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3.07
3월 15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3.14
사랑하는 성도님들께 알립니다. 2020.03.14
3월 22일 교회소식(주일 예배 안내)입니다. 2020.03.19
3월 29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3.28
4월 5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4.04
<동래제일교회 함께 모여 드리는 예배 안내문> 2020.04.09
4월 19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4.19
4월 26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4.24
5월 3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5.02
5월 10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5.15
5월 17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5.15
5월 24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5.22
5월 31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5.29
6월 7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6.05
6월 14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6.12
6월 21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6.19
6월 28일 교회소식입니다. 2020.06.26